반응형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이란?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것
-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표준적인 뼈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참조 모델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구분
- 특정 부분에 이상이 생긴다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지 않고 이상이 생긴 부분만 수정이 가능
-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전송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7개로 나뉘어짐
물리계층(1계층)
-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 기술을 이룬다
-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전기적, 과학적 특성을 정의하는 계층
- 통신 케이블, 허브, 모델 등이 해당
- 0과 1로 구분지어 통신이 가능
- 물리계층은 데이터를 전달할 뿐 해당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떠한 에러가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보내는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부분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데이터링크 계층(2계층)
- 직접 연결된 서로 다른 2개의 네트워크 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 1계층인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역할
- MAC, LLC 2개의 부 계층으로 구성
MAC
- 물리적인 부분으로 매체간 연결 방식을 제어하고 1계층과 연결
LLC
- 논리적인 부분으로 3계층인 네트워크계층과 연결
네트워크 계층(3계층)
-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
- 대표적인 장비로 라우터가 있으며 IP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소로 전달해 주는 역할
전송 계층(4계층)
- TCP프로토콜을 이용하며 포트를 열어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함
-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 속도를 조절하며, 오류가 발생된 부분을 다시 맞춰주는 계층
- 네트워크 계층은 호스트간의 논리적 통신을 돕지만 전송계층은 응용 프로세스간 논리적 통신을 도와줌
세션 계층(5계층)
- 네트워크상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
- TCP/IP세션을 만들고 유지
- 분실 데이터의 복원을 위한 동기화지점을 두어 상위계층의 오류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복원한다
- 애플리케이션간 세션을 구축하고 관리하며 종료시키는 역할
표현 계층(6계층)
- 응용계층과 세션계층 준간에서 정보로 넘겨주는 역할
- 응용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를 위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부분으로 암호화, 복호화 과정이 이 계층에서 처리
- 데이터가 Text인지, image인지 등을 구분해내는 역할
응용 계층(7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
- 최정적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유일한 계층
-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1계층 -> 7계층
- 케이블, 리피터, 허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
- 에러검출 / 재전송 / 흐름제어
- IP주소 부여, 라우트 설정
- 패킷 생성 및 전송
-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통신을 하기 위한 세션을 확립,유지, 중단
- 사용자의 명령어를 완성 및 결과 표현
-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UI, 사용자의 입, 출력
https://ko.wikipedia.org/wiki/OSI_%EB%AA%A8%ED%98%95
https://jhnyang.tistory.com/194
https://onecoin-life.com/19
반응형
'Develop Log > 개발 관련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의 스토리지 종류 (0) | 2023.07.21 |
---|---|
HTTP Method (0) | 2023.07.21 |
ORM (0) | 2023.07.17 |
Http 버전별 특징 (0) | 2023.07.16 |
Tomcat, Nginx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