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프로그래밍 언어 초창기부터 존재했다.
컴퓨터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이진 형태(0과 1)이기 때문에 이런 이진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했고 이를 위해 논리 연산자가 도입되었다.
JavaScript도 이런 이유와 같으며 최초의 버전의 JavaScript 부터 지원하고 있다.
논리 연산자의 특징
- 복잡한 조건식 표현: 논리 연산자는 여러 조건을 결합하거나 반전시키는 등의 복잡한 조건식을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 예를 들어,
if (age >= 18 && country === 'Korea')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if문에서age
가18
이상이고country
가'Korea'
일 경우를 찾는 문장을 표현할 수 있게된다.
- 예를 들어,
- 단축 평가(short-circuit evaluation): JavaScript의 논리 연산자는 단축 평가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었을 때,
&&
연산자는 첫 번째 피연산자가 거짓일 경우 두 번째 피연산자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거짓을 반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고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흐름 제어: 논리 연산자를 활용하여 코드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
연산자를 사용하여 기본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시로const name = inputName || 'Guest';
와 같은 코드는inputName
이 truthy일 경우inputName
을, 그렇지 않을 경우 'Guest'를name
에 할당하게 된다.
논리연산자 종류
1. 논리 AND 연산자 ' &&
'
두 피연산자가 모두 참일 때만 참을 반환한다.
첫 번째 피연산자가 거짓으로 평가되면 그 값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두 번째 피연산자를 반환한다.
console.log(true && true); // true
console.log(true && fals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 false
console.log(false && false); // false
2. 논리 OR 연산자 ' ||
'
두 피연산자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을 반환한다.
첫 번째 피연산자가 참으로 평가되면 그 값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두 번째 피연산자를 반환한다.
console.log(true || true); // true
console.log(true || false); // true
console.log(false || true); // true
console.log(false || false); // false
3. 논리 NOT 연산자 ' !
'
피연산자의 논리 값을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참이면 거짓을, 거짓이면 참을 반환한다
console.log(!tru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반응형
'Develop Log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ES6 (ECMAScript 2015 ) (0) | 2023.07.27 |
---|---|
폴리필 (polyfill)이 뭘까 (0) | 2023.07.26 |
javascript - spread, rest 문법 알아보기 (0) | 2023.07.24 |
JS 데이터 타입, 얕은 복사, 깊은 복사 (0) | 2023.07.22 |
JavaScript Prototype (1) | 2023.07.18 |